안녕하세요. 아라리입니다.
오늘은 자동차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확인하는 법과 본인 차에 맞는 타이어 규격을 확인하는 법에 대해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요즘 벌써 겨울이 다가왔는데, 겨울철에는 낮아진 온도로 눈이나 블랙아이스 등으로 인해 차량이 미끄러지고 제동거리가 길어지기 쉽습니다. 특히나 타이어가 마모가 심하게 진행된 경우에는 마찰력이 떨어져 제동거리가 더욱 늘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타이어 교체시기가 되지 않았는지 점검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또한 앞서 포스팅한 바와 같이 저온으로 공기가 수축하기 때문에 타이어 공기압 유무도 필수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간단하게는 차량의 외관을 살펴보는 것 입니다. 상처가 나진 않았는지, 유리조각이나 돌 등의 이물질이 박혀있는지 등을 통해 타이어에 손상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손상된 부위를 발견하신다면 가까운 타이어 매장에서 확인 후 교체를 진행해야 합니다.
1. 타이어의 마모한계선 확인
타이어의 트레드에는 마모된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마모한계선이 있습니다. 타이어는 트레드(노면과 맞닿는 타이어의 표면)라는 고무 사이의 홈이 있으며, 이 홈을 통해 도로 위에 고여있는 물을 배수합니다. 마모가 심한 경우에는 홈의 깊이가 옅아 배수의 능력이 떨어집니다. 마모한계선은 그 홈에서 볼록 나와있어, 마모된 정도 따라 그 높이가 달라지는 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마모가 거의 없는 새 타이어의 경우엔 마모한계선이 깊게 들어가 있으며, 마모가 많이 진행된 타이어는 마모한계선이 얕아져 있습니다.
한국타이어에 따르면 젖은 노면에서 시속 100km이상 달리다가 급제동을 할 경우, 홈의 깊이가 7mm인 새 타이어와 1.6mm인 마모된 타이어는 약 2배의 제동력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시속 80km 속도의 코너링 시험에서는 새 타이어는 2~3mm가량 미끄러지는데, 심하게 마모된 타이어는 도로 밖으로 이탈하는 등 위험을 보였습니다.
타이어 트레드 홈 깊이에 따른 교체 주기는 일반적으로 마모한계선인 1.6mm에 도달했을 때로 봅니다. 그러나 마모한계선에 도달하기 전에 타이어를 교체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보통 약 4년 정도 주행한 후에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제 경우에는 타이어 트레드 홈을 손으로 만져보면 그 홈의 높이가 옆 부분과 거의 비슷할 정도로 마모가 심하게 되어 있어 타이어 교체가 시급하다고 판단했습니다.
2. 타이어 규격 확인
타이어의 교체 여부를 판단한 후에는 자신의 차에 맞는 타이어 규격을 확인해야 합니다. 타이어 규격은 차에 부착되어 있는 타이어를 확인하시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타이어의 옆면에 7자리 숫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제 차(18년식 아반떼AD)의 경우에는 255/45R17 이라고 각인되어있으며, 이것이 제 차에 맞는 타이어의 규격입니다. 255는 단면폭을 의미하고, 45R은 평편비, 17은 인치(림직경)를 의미합니다.
타이어를 구매할 때에는 반드시 자신의 차에 맞는 규격을 사용해야하므로 타이어에 새겨있는 숫자를 반드시 확인 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생각보다 단순히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어렵지 않았습니다.
3. 타이어 생산연도 확인
타이어의 생산연도는 타이어에 적힌 네 자리 숫자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네 자리 숫자 중 뒤의 두 자리가 생산연도, 앞의 두 자리가 생산된 주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320이라고 나와있는 경우에는 2020년도의 13번째 주에 생산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제 경우에는 2018년식 중고차를 올해 초에 구입하여 사용 중입니다. 이번에 타이어 교체시기가 된 것 같아 타이어 교체 및 규격 등에 대해 알아보다가 생산연도 확인법을 배워 처음 확인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제 타이어는 2013이 적혀있는데, 이는 13년도의 20번째 주에 생산되었다는 의미입니다.
18년식 차에 왜 13년도에 생산된 타이어가 끼워져있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다만, 지난번 포스팅에 언급했듯이 타이어 공기압 확인할 때에도 운전자석 차량 틀에 차량 연식등이 작성된 스티커가 없다는 점을 확인했던 터라 불안함이 커졌습니다. 급하게 자동차등록증을 꺼내 생산연도를 확인해보았습니다. 다행히 자동차등록증 상의 차량의 생산연도가 18년도로 확인되었습니다.
2021.11.10 - [초보운전/자동차 관련정보] -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대처법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대처법
안녕하세요 아라리입니다. 저와 같은 초보 운전자분들에게 알려드릴 정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겨울철에 자주 발생한다는 타이어 공기압이 벌써 발생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최근 출퇴근 길에
arariyo.tistory.com
타이어를 교체하려고 보다보니 어찌어찌하여 차량의 생산연도까지 확인을 하게 되었습니다. 중고차를 구매하시는 분들은 자동차등록증 상의 차량의 생산연도도 필히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자동차등록증의 차대번호를 통해 생산연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대번호는 생산 시 부여되는 것으로, 사람으로 치면 주민등록증과 같은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과 겹치지않는 고유번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차대번호는 총 17자리의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되어있고 그 중 뒤에서 8번째에 있는 숫자가 차량의 생산연도입니다.
저는 확인한 타이어 규격을 토대로 인근의 코스트코에서 첫 타이어 교체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모두들 빙판길 안전운전하시기 위해 차량의 타이어를 점검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초보운전 > 자동차 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대처법 (2) | 2021.11.10 |
---|
댓글